본문 바로가기
대가들의 투자원칙

투자 대가들이 말하는 "이런기업에 투자하라"

by 아스리[ASMr.Lee] 2020. 9. 28.

안녕하세요. 아스리 입니다.

 

코로나를 기점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주식투자에 대한 인식이 많이 바뀌고 있습니다.

 

 

 

 

 

하지만 막상 주식투자를 하려고 계좌를 만들어도

종목을 골라야 하는 장벽에 부딪히게 되는데요.

 

 

 

그럼 어떤 기업에 투자해야 할까요?

 

 

 

워렛 버핏과 피터 린치가 말하는

대가들의 투자법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이해할 수 있는 기업에 투자하라

 

워레 버핏이나 피터 린치 같은 전설적인 투자자들의

공통점은 반드시 자신이 이해하는 기업에 투자했는데요.

 

전문용어가 남발하고 어떻게 돈을 버는지

알기 어려운 기업에 투자를 하지 말라고 합니다.

 

자신이 기업에 대해서 충분히 이해했는지를

알아보는 방법은 가까운 사람에게

2분 안에 이 기업에 왜 투자해야 하는지 설명할 수 있어야 하고

이 기업이 무엇을 하는지 그림 한 장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본인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기업의 주가가 떨어진다면

공포를 느끼게 되고 섣부르게 매도를 하게 될지 모릅니다.

 

인간은 자신이 알지 못하는 것에 가장 큰 공포를 느끼게 됩니다.

 

이러한 기업을 찾는 좋은 방법으로는

지금 자신의 주변을 둘러보세요. 어느 회사의 제품이 많은가요?

오늘 점심을 먹고 어떤 음료를 마셨나요?

그 제품의 회사는 앞으로 큰 문제없이 성장할 가능성이 높을 겁니다.

 

 

 

2. 강하고 영속적인 경제적 독점 판매권을 가진 기업에 투자하라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코카콜라가 있죠

코카콜라의 콜라는 그 어떤 음료업체도

똑같이 만들어낼 수 없습니다.

 

피터 린치는 저성장 산업의 고성장 기업에 투자하라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기업은

제한된 경쟁과 높은 진입장벽, 풍부한 성장 여력

그리고 무엇보다 이러한 기업은

앞서 말한 것처럼 이해하기 쉽습니다.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월마트가 있습니다.

 

15년간 6배 상승한 월마트

 

 

 

3. 정직하고 능력 있는 사람들에 의해 운영되는 기업에 투자하라

 

우리 같은 소액투자자들이 기업가들과 직접 만나서

정직한지 아닌지를 알아볼 방법은 없지만

기업가가 범죄에 연루되거나 특히 분식회계

적발된 경우는 투자를 하여서는 안 되는 기업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스캔들 이후 경영진이 전부 교체된 경우

자정노력을 충분히 하고 있는 경우에는

오히려 주가 상승의 기회를 맞기도 합니다.

 

이러한 기업으로 가짜 유령계좌 사건으로 문제가 있었던

미국 4대 은행 중 하나인 웰스파고(Wells Fargo)가 있습니다.

 

 

4. 견실한 재무구조의 기업에 투자하라

 

주식투자를 하려면 최소한 흑자를 내는 기업인지

적자를 내는 기업인지는 반드시 따져봐야 합니다.

 

다음은 제가 올해 하락장에서 매수했고

가장 먼저 매도한 아메리칸 항공의 주식입니다.

 

저는 코로나로 떨어진 주식을 4월 27일 $10.15에매수하였는데요.

유명 항공사를 사들이겠다는 생각만으로 설마

미국 4대 항공사 중 하나가 큰 부채를 가진 기업인 줄 몰랐습니다.

아메리칸 항공의 부채율은 순자산 조차도 마이너스로 표시되는 극심한 자본잠식상태였습니다.

 

부채율을 확인하고 저는 저의 투자원칙에 따라

$11.49에 13%의 수익을 내고 전량 매도하였습니다.

 

 

 

 

하지만 며칠 후 아메리칸 항공은 40% 넘게 급등하였고

저는 저의 선택이 틀린 것인가를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하지만 그때 아메리칸 항공을 팔지 않았다면 수익률은 9월 28일 현재 겨우 8%밖에 차이가 나지 않고,

저는 아메리칸 항공을 매도한 돈으로 다른 주식에 투자하여 더 큰 이익을 냈습니다.

부채가 많은 주식일수록 시장의 변화에 따라

변동폭이 매우큰 반면 장기적으로 큰 수익을 낼 확률을 적습니다.

 

5. 지금까지 말한 기업에 장기 투자하라

 

 

 

주식시장은 하루에도 큰 폭으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합니다.

 

하지만 10년 20년 길게 본다면 주식시장은 언제나 우상향을 하였습니다.

3월의 코로나 때에도, 08년 리먼브라더스 사태에도 언제나 주식시장은 장기적으로 보면 회복하였고 성장하였습니다.

 

더이상 말할 필요 없을 것같습니다.

장기투자의 원칙은 누구나 알지만 참 지키기 어려운것 같습니다.

 

 

6. 장기 투자할 기업을 찾았다면 낮은 가격에 매수하라

 

주가 수익 비율이 PER 지표는 S&P 평균 13~18 사이인데 

30이 넘는 기업은 30년을 벌어야 현재 시가총액을 도달한다는 겁니다.

 

따라서 높은 PER을 가진 기업에 투자할 때는

기업의 순이익 증가율이 매우 높을 때 의미가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기업을 높은 가격에 산다면

아무리 장기투자를 해도 수익을 내는데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릴 겁니다.

 

장기투자도 낮은 가격에 샀을 때 그 의미가 있습니다.

오르는 주식의 머리를 잡지 마세요.

[요약]

1. 이해할 수 있는 기업에 투자하라

2. 강하고 영속적인 경제적 독점 판매권을 가진 기업에 투자하라

3. 정직하고 능력 있는 사람들에게 운영되는 기업에 투자하라

4. 견실한 재무구조의 기업에 투자하라

5. 지금까지 말한 기업에 장기 투자하라

6. 장기 투자할 기업을 찾았다면 낮은 가격에 매수하라

 

모두 성공적인 투자 하시길 바랍니다.

 

 

더 많은 정보는 유튜브 채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스리 채널 

 

아스리 유튜브 채널

미국 주식에 입문한 직장인 주린이 입니다. 직장인 소액투자자로써 장기투자, 가치투자를 어떻게 접근할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www.youtube.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