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아스리입니다.
오늘은 여러분들의 투자를 망치는 ETF 매매법 5가지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ETF의 수익률이 나오지 않는다고 하십니다.
그러면 지금부터 내가 이 5가지에 포함이 되어있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1. 수수료는 홈페이지에 있는 것으로만 본다?
ETF 수수료란? 1년간 매매했을 때 증권사가 가져가는 금액을 말합니다.
수수료는 수익률에 반영이 되기 때문에 따로 수수료를 낼 필요가 없습니다.
ETF는 패시브 펀드 이므로 시장수익률에 따라가도록 설정이 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추종지수와 비슷한 움직임을 가져가게 됩니다.
따라서 같은 지수를 추종하는 ETF 중에 선택을 할 때에는 수수료가 싼 ETF가 도움이 되겠죠?
여기서 주의하실 점이 있습니다.
다음은 키음 증권의 Kosef nifty 50 인도ETF입니다.
홈페이지의 수수료는 0.49%입니다.
BUT!! 투자설명서의 1000만원 투자시 수수료율은 0.52% 입니다.
홈페이지의 수수료는 기타비용이 빠져있기 때문인데요.
따라서 각 ETF별로 수수료를 비교할 때는 반드시 투자설명서의 수수료로 비교하셔야 합니다.
2. 환헤지 ETF만을 고집한다.
환헤지란?
바꿀 환과 헷지(울타리, 대비책)의 결합어로
환율 변동의 위험에 대비하여 환율을 현재 시점의 환율에 미리 고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환노출형 상품 = 지수가 4% 상승 환율이 4% 하락하면 수익을 낼 수 없지만
환헤지형 상품 = 지수가 4% 상승, 환율이 4% 하락해도 4%의 수익을 낼 수 있는 겁니다.
그럼 환헤지 ETF만 고집하면 어떤 문제가 생길까요?
우리나라 10년간 평균 원달러 환율은 1130원 정도 됩니다.
2018년 때처럼 원달러 환율이 1100원 이하로 떨어졌을 때는
오를 확률이 높기 때문에 환노출형 상품에 투자하여
지수의 상승외에 추가적인 환차익을 누릴 수 있는데 이러한 기회를 잃어버리게 됩니다.
그리고 환헤지형 ETF는 수수료가 노출형에 비해 대체로 비싼 편입니다.
또 환헤지에 대한 추가적인 수수료를 부담할 수 있습니다.
3. 합성 ETF 수수료
합성 ETF란?
증권사가 펀드를 직접 운용하는데 수익을 남기기 어려워서,
해외 증권사에 일정 수수료를 지불하여 운용을 맡기고,
본인들이 판 펀드의 수수료를 가져가는 구조입니다.
투자설명서에는 이러한 위험성에 대해서는 언급만 되어 있지
정확히 해외 증권사에 어느 정도 수수료를 지불하는지는 나와있지 않습니다.
앞에서 말했듯이 수수료가 수익률에 반영되기 때문에
우리는 정확히 합성 수수료가 추가로 얼마나 드는지 알 수 없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합성 ETF는 대체 불가능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어쩔 수 없는 경우에만 선택하는 게 투자 수익율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다우존스리츠에 투자하는
한국투자자산의 Kindex 미국다우존스리츠(합성H) 삼성자산운용의 Kodex 다우존스리츠(H) ◀ 선택 |
두 가지 ETF가 있습니다.
이경우에는 합성이 붙지 않은 Kodex ETF를 선택하여야 합니다.
4. 괴리율
괴리율이란?
지수의 순자산가치 즉,
S&P500지수가 3000 = Kindex 미국 S&P500ETF 만 원
으로 한다고 약속을 합니다.
그런데 ETF 매매는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S&P500지수가 3000임에도 ETF 가격이 만원이 넘거나 적은 괴리율이 발생하게 됩니다.
괴리율은 두 가지만 알면 됩니다.
+ %가 되어있는 것은 내가 비싸게 사는 것이다.
- %가 되어있는 것은 내가 싸게 사는 것이다.
두가지 ETF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NAV는 순자산가치를 나타냅니다.
Kodex 중국본토CSI300의 지수에 대한 ETF가격은 1주에 12376원입니다.
하지만 현재 ETF의 가격은 12705원 입니다.
그래서 괴리치가 +328원이고 괴리율은 +2.66%입니다.
따라서 지금 이 ETF를 사면 비싸게 산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오른쪽은 Kodex 미국S&P500선물(H)의 괴리율은 -0.06%이죠?
그럼 싸게 사는 거라고 할 수 있습니다.
Tip. 하지만 무조건 적으로 순자산가치 NAV의 수치가 옳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ETF에 따라서는 한국거래 시간과 다른 거래시간을 갖는 지수의 경우에는
올라갈것 또는 내려갈것이 예측되는 경우 ETF의 괴리율이 많이 차이가 나는 경우에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더 자세한 정보는 유튜브 채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스리 유튜브 채널
아스리
풍요로운 노후를 꿈꾸는 직장인 투자자 입니다. 월급쟁이 소액투자자로써 장기투자, 가치투자를 통해 안전하게 투자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
www.youtube.com
'개인연금 > 개인연금투자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p]키움증권 연금저축계좌 출금하기(연금저축 정산내역이 없습니다.) (7) | 2020.11.02 |
---|---|
연금저축! 올해가 가기 전에 해야하는 이유!! (4) | 2020.09.30 |
댓글